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들을 수 있는 단어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뜻은 어떤 컴퓨터나 서버의 이름이 아니라 컴퓨터의 역할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아래에서 다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그림한장으로 보는 최신 네트워크 용어해설 책을 참고한 것으로 IT완전 초보인 저를 위한 정리글입니다.
1.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고객이나 손님이라는 뜻이 있지만 컴퓨터에서는 "의뢰인"이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는 "이거 해주세요, 저거 해주세요"하는 의뢰인의 역할을 하고 있거든요. 마치 식당에서 이런저런 주문을 하는 손님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서버(Server)
서버 뜻은 사전 의미대로 "시중드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에서 의뢰인인 클라이언트가 이것저것을 해달라고 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구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3. P2P (Peer-to-Peer)
P2P는 네트워크 통신방식의 한 종류로 클라이언트들이 파일이나 프린터 같은 자원을 서로 공유하는 형태의 네트워크 통신을 말합니다. 보통 컴퓨터 3~4대 정도의 매우 소규모 스타트업 기업이나 가정에서 별도의 서버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전용으로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컴퓨터가 필요에 따라 클라이언트 역할과 서버 역할을 하고 반대로 역할을 바꿔서 하기도 합니다.
4.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클라이언트 서버는 각 컴퓨터(client)의 요청을 받을 때 한개의 서버를 요청받기 전용으로 놓고 서버에 대한 요청을 받아서 처리해 주는 것입니다. 이런 클라이언트서버에서는 서버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 사용 등에 대한 요청을 도맡아 처리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관리하기가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리
- 클라이언트 : 의뢰자
- 서버 : 서비스 제공자(데이터, 정보, 컴퓨터 공유 등)
- P2P : 컴퓨터끼리 필요에 따라 서로 클라이언트나 서버 역할을 번갈아 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음. 소규모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서버 : 메인 서버들과 클라이언트 사이에 서버를 하나 놓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처리하는 역할.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에 적합
지금까지 서버와 클라이언트, P2P와 클라이언트서버 통신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완전 생초보 IT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국가자격증, 국가공인자격증 종류 (0) | 2023.07.15 |
---|---|
마케팅 전문가가 되기 위한 자격증 종류 (0) | 2023.07.15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0) | 2021.09.20 |
IT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 기본용어부터 공부하기 (0) | 2021.09.18 |
로그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자격증 따기 (0) | 2021.09.18 |
최근댓글